맨위로가기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는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와 마르게리타 루이자의 차남으로, 1723년 부친의 뒤를 이어 제7대 토스카나 대공이 되었다. 그는 정치에는 무관심했지만, 아버지의 엄격한 법률을 폐지하고 과세 부담을 줄이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로 통치했다. 그러나 국고가 바닥나고 피렌체가 쇠퇴하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 통치를 시작했고, 사치스러운 생활과 무관심한 태도로 인해 백성들의 지지를 잃었다. 1737년 사망하면서 메디치 가문의 직계는 단절되었고, 토스카나 대공국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1년 출생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 1671년 출생 - 토마소 알비노니
    토마소 알비노니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활동한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오페라와 기악곡을 작곡했으며, 오늘날에는 오보에 협주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토스카나 대공 -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사생아로 피렌체의 첫 번째 세습 공작(1532-1537)이었으며, 어두운 피부색으로 "일 모로"라는 별명을 얻었고, 1530년 권력을 되찾아 피렌체 공작으로 임명되었으나 사촌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암살당했다.
  • 토스카나 대공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이탈리아의 성소수자 인물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성소수자 인물 -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는 1621년부터 1670년까지 토스카나 대공으로 재위했으며, 과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뇌졸중과 수종으로 사망하여 산 로렌초 성당에 안치되었다.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
기본 정보
프란츠 페르디난트 리히터의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 공식 초상화
프란츠 페르디난트 리히터의 초상화
군주 칭호토스카나 대공
전체 이름조반니 바티스타 가스토네 데 메디치
출생일1671년 5월 25일
출생 장소피렌체, 피티 궁전, 토스카나 대공국
사망일1737년 7월 9일
사망 장소피렌체, 피티 궁전, 토스카나
매장일1737년 7월
매장 장소산 로렌초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교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 서명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의 서명
통치
군주 칭호토스카나 대공
통치 기간1723년 10월 31일 – 1737년 7월 9일
이전 통치자코시모 3세 데 메디치
다음 통치자프란츠 2세 스테판
가문
가문메디치 가문
아버지코시모 3세 데 메디치
어머니마르게리트 루이즈 도를레앙
배우자
배우자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 폰 작센라우엔부르크 (1697년 결혼)

2. 생애

잔 가스토네는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와 마르가리타 루이자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마르가리타 루이자는 남편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잔 가스토네가 네 살 되던 해에 친정인 프랑스로 돌아가 버렸기 때문에 그는 무관심 속에서 자랐다.[69]

1697년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율리우스 프란츠의 딸 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태어나지 않았다. 잔 가스토네는 사냥과 승마만이 취미인 아내를 싫어했다.[69]

당시 토스카나 대공위는 형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가 이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페르디난도는 매독으로 요절했다. 코시모 3세는 잔 가스토네에게도 자식이 없는 것을 우려해 안나 마리아를 대공국의 계승자로 만들려 했으나 황제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1728년 몽테스키외는 잔 가스토네에 대해 "좋은 머리를 타고난 훌륭한 세자이지만 게으르고 술에 중독되어 있다"고 평했다.[69]

1723년 52세의 나이로 제7대 토스카나 대공으로 즉위했을 때, 토스카나 대공국은 이미 쇠퇴하고 있었다. 잔 가스토네는 정치에는 관심이 없었으나, 아버지의 엄격한 법률을 폐지하고 과세 부담을 줄이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로 통치했다.[69] 그러나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고, 그는 무절제한 생활 속에 말년을 보냈다.

1737년 잔 가스토네가 사망하면서 메디치 가문은 단절되었고,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이후 1738년 빈 조약에 따라 토스카나 대공국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그의 희망대로 독립된 국가로 남았다.

2. 1. 초기 생애 (1671년 ~ 1697년)

잔 가스토네는 1671년 5월 24일 피렌체에서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와 마르가리타 루이자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6] 세례명인 조반니 바티스타 가스토네는 외할아버지인 오를레앙 공작 가스통에게서 따왔다.[6] 부모는 자주 다투었고, 그가 태어난 지 4년 만에 어머니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프랑스로 돌아갔다. 이후 잔 가스토네와 그의 형제자매들은 할머니인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의 보살핌을 받았다.[7]

잔 가스토네는 추기경 헨리 노리스에게서 가정교습을 받았으며, 골동품 수집가이자 식물학자, 아마추어 과학자로서 열렬한 지식인이었다.[8] 그는 영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8] 그러나 아버지와 형인 대공자 페르디난도는 이러한 그의 특성을 경멸했고, 잔 가스토네는 아버지로부터 적은 용돈만을 받으며 궁정 생활을 즐길 수 없었다.[8]

코시모 3세는 잔 가스토네를 추기경으로 만들고자 했다. 스페인은 그를 "스페인 해군의 장군"으로 임명하겠다고 제안했고,[9] 포르투갈의 페드루 2세는 그의 외동딸 베이라 공주 이자벨 루이사와 결혼시키려 했으나 모두 성사되지 않았다.[10]

잔 가스토네는 불행한 시누이 바이에른의 비올란테 베아트리체 여공작과 친구가 되었다.[12] 그녀의 남편 페르디난도는 그녀를 못생기고 지루하다고 여겼다.[11] 잔 가스토네는 우울증에 빠졌고, 이를 달래기 위해 추기경 프란체스코 마리아는 그를 자신의 별장 라페지에서 열리는 축제에 초대하기도 했지만, 그는 개인적인 방에서 계속 울기만 했다.[12]

1697년, 잔 가스토네는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율리우스 프란츠의 딸 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태어나지 않았다.

2. 2. 결혼과 보헤미아에서의 생활 (1697년 ~ 1708년)

잔 가스토네는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와 마르가리타 루이자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남편과 사이가 좋지 않아 그가 네 살 때 프랑스로 돌아갔기 때문에, 그는 무관심 속에서 자랐다.[69]

1697년, 형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 부부와 누이 팔라티네 선제후비 모두 아이가 없자, 코시모 3세는 잔 가스토네에게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의 상속녀인 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와의 결혼을 추진했다.[13] 1697년 7월 2일 뒤셀도르프에서 결혼식이 거행되었다.[14]

안나 마리아는 도시나 궁정을 좋아하지 않아, 자신의 보헤미아 거주지인 플로스코비체 성과 라이히슈타트에 정착할 것을 요구했다.[15] 잔 가스토네는 그곳에서의 삶을 참을 수 없어했다.[16] 아내는 예측 불가능하고 분노를 폭발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지적 사회의 부재와 아내의 적대감은 그를 더욱 술에 의존하게 만들었다.[16]

1698년, 잔 가스토네는 아내를 떠나 파리로 갔으나, 코시모 3세의 명령으로 라이히슈타트로 돌아왔다.[17] 그는 프라하에서 겨울을 보내자는 제안을 했으나, 아내의 반대로 수행원과 함께 혼자 프라하로 갔다.[19]

프라하에서 잔 가스토네는 방탕한 생활을 하며, 도박으로 많은 빚을 졌다.[19],[20],[21] 코시모 3세는 그의 빚을 조사하기 위해 특사를 보냈고, 조사 결과 프라하 대주교가 그의 채권자 중 한 명이라는 사실에 경악했다.[22]

1703년 10월, 잔 가스토네는 함부르크로 떠났다가 다음 해 2월 프라하로 돌아왔다.[26] 코시모 3세는 교황 클레멘스 11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프라하 대주교를 통해 아내에게 잔 가스토네와 함께 피렌체로 가도록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공주는 그와 함께 가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27] 결국 1708년, 코시모 3세는 잔 가스토네를 피렌체로 소환했고, 그는 다시는 아내를 보지 못했다.

2. 3. 피렌체로의 귀환 (1708년 ~ 1723년)

잔 가스토네 공자는 아버지 코시모 3세의 지나치게 경건한 성격을 싫어하여 왕실을 멀리했다.[27] 그가 유지했던 닫힌 궁정은 그의 총애를 받던 다미가 지배했다.[28] 한편, 매독에 걸린 형 페르디난도 대공자는 서서히 죽어가고 있었고, 이는 잔 가스토네의 즉위 가능성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29] 프랑스 모험가 기요 드 메르빌은 잔 가스토네의 정신적 쇠퇴에 주목하며 "그는 [무관심]을 너무나 심하게 보여 편지를 열어보지도 않아 답장을 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라고 언급했다.[30] 또한, 잔 가스토네의 연약한 기질은 오랜 고립 기간을 필요로 했는데, 그는 매일 밤 몇 시간씩 혼자 술을 마시며 달을 올려다보곤 했다.[27]

1713년 10월 30일, 페르디난도 대공자는 결국 매독으로 사망했고, 이는 왕위 계승 위기를 촉발했다.[31] 코시모 3세는 명목상의 입법 기관인 토스카나 원로원에 법안을 제출하여, 남성 계승자가 없을 경우 팔라티네 선제후(잔 가스토네의 누나 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가 잔 가스토네의 상속자가 되도록 규정했다.[32] 이 법안은 통과되어 유럽 전역의 재상들에게 배포되었다.[33] 오스트리아는 토스카나가 부르봉 왕가의 손에 넘어갈 것을 우려하여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34] 그러나 프랑스와 영국은 승인했다.[34]

선제후(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는 전 해 여름 남편의 사망 후 1717년 10월 피렌체로 돌아왔다.[34] 잔 가스토네와 매우 가까웠던 바이에른의 비올란테 베아트리체는 선제후를 싫어하여 시에나 총독직을 맡기 위해 대공 궁정을 떠났다.[35] 토스카나의 퍼스트 레이디가 된 선제후와 잔 가스토네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잔 가스토네는 그녀가 자신을 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 폰 작센-라우엔부르크와 결혼시킨 것을 비난했는데, 안나 마리아 프란치스카는 11년 동안 그의 삶을 견딜 수 없게 만들었다.[36]

1718년 4월 4일,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공화국(그리고 나중에는 오스트리아)은 엘리자베트 파르네세(마르게리타 데 메디치의 증손녀)와 스페인 펠리페 5세의 장남인 스페인 카를로스 3세를 토스카나 상속자로 선택했다. 이 과정에서 선제후의 왕위 계승권은 완전히 무시되었다.[37] 자신의 모든 왕위 계승 야망이 좌절되자, 코시모 3세는 1723년 10월 31일 사망 직전에 선제후가 잔 가스토네를 계승해야 한다고 선언하는 마지막 포고령을 배포했으나, 이는 완전히 무시되었다.[38]

2. 4. 통치 (1723년 ~ 1737년)

잔 가스토네는 52세의 나이에 아버지 코시모 3세의 뒤를 이어 제7대 토스카나 대공으로 즉위했다. 당시 토스카나 대공국은 국고가 바닥나는 등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69] 그는 정치 문제에는 관심이 없었으나, 아버지 코시모 3세가 정한 엄격한 법률을 폐지하고 과세 부담을 줄이는 등 대공국을 전대에 비해 자유로운 분위기로 통치했다.[69]

잔 가스토네가 상속받은 토스카나는 비참한 상태였다. 군대는 3,000명도 채 안 되었고, 왕실 금고는 비어 있었으며, 피렌체는 거지들로 가득했다.[39][40] 그럼에도 불구하고 잔 가스토네는 죄수들을 석방하고, 과도한 세금을 폐지했으며,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에게 지급되던 돈인 "신조에 대한 연금"과 공개 처형을 폐지했다.[41][42]

잔 가스토네는 자신의 공적인 의무 대부분을 총독에게 위임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서 보냈다.[43] 그는 ''루스판티''라 불리는 젊은이들과 향락을 즐겼으며, 귀족을 혐오하여 주요 ''루스판티''에게 토스카나 귀족들의 이름을 붙였다.[44][45]

1723년부터 1731년까지 "토스카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강대국들이 분주하게 움직였다. 스페인은 카를로스를 지지했지만, 오스트리아는 이탈리아에 또 다른 부르봉 왕가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46] 잔 가스토네는 누이 안나 마리아가 메디치 가문의 모든 사유 재산을 상속받도록 보장하는 데 힘썼다.[47]

빈 조약 (1731년)에서 오스트리아는 인판테 카를로스를 잔 가스토네의 상속자로 확인했다.[51] 잔 가스토네는 도르테아 소피와 함께 인판테의 공동 후견인으로 임명되었다.[52] 1731년 10월, 3만 명의 스페인 군대가 카를로스를 대신하여 토스카나 대공국을 점령했다.[53] 잔 가스토네는 카를로스에게 감명을 받아 선물을 쏟아부었고,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의 뜻에 반하여 토스카나 대공으로 임명하기까지 했으나, 카를 6세는 곧 이 특권을 철회했다.[54][55]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이후, 1738년 빈 조약에서 카를로스는 로렌의 프란체스코 3세에게 토스카나 왕위를 넘겨주었다.[56] 잔 가스토네는 외국인이 토스카나를 통치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결국 1737년 1월 스페인 군대가 철수하고 6,000명의 오스트리아군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57]

1737년, 잔 가스토네는 66세로 사망했다. 이로 인해 메디치 가문의 주류는 끊어졌다. 잔 가스토네의 사후, 토스카나 대공국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잔 가스토네의 희망대로 독립된 국가로 남겨졌다.

3. 사망과 유산

잔 가스토네는 1737년에 사망하여 메디치 가문의 대공가는 단절되었고, 토스카나 대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가 되었다.[61] 그는 죽기 직전, 증조부 코시모 2세와 할아버지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던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동상을 산타 크로체 대성당에 세우도록 지시했다.[58]

잔 가스토네는 왕국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하여 부패한 성직자들을 정부에서 제거하고, 피사 대학교에서 "새로운 사상"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했던 코시모 3세의 정책을 뒤집었으며, 부담스러운 소득세를 폐지했다.[62] 그 결과, 그는 백성들에게 진심으로 애도받았다.[58] 프랑스 정치인이자 작가인 샤를 드 브로스는 1739년에 "토스카나인들은 메디치 가문을 다시 얻기 위해 재산의 3분의 2를, 로렌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나머지 3분의 1을 줄 것이다."라고 썼다.[63] 1799년 프랑스가 토스카나를 점령했을 때, 사람들은 잔 가스토네가 왕위에 오르기를 요청하기도 했다.[64]

그의 유해는 산 로렌초 대성당에 있는 메디치 가문의 묘소에 안치되었다.[58] 1857년 조사에 따르면, 그의 시신은 검은 벨벳으로 덮여 있었고, 그 위에는 성 슈테판 기사단의 대사령관 망토가 있었다. 머리에는 대공 왕관이 씌워져 있었고, 옆에는 홀이 있었으나, 부식된 상태였다.[58]

로렌의 프란체스코 3세, 잔 가스토네의 후계자, 마르틴 반 메이텐스 작, 1745년


잔 가스토네의 사후, 토스카나 대공국은 유럽 열강의 선택에 의해 로렌 공작 프란츠 슈테판(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여 신성 로마 황제가 됨)에게 넘어갔다.[61] 하지만 잔 가스토네의 희망에 따라, 토스카나 대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에 편입되지 않고 독립 국가로 남았다.

4. 평가

잔 가스토네는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와 마르가리타 루이자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지만, 어머니의 무관심 속에 성장했다.[69] 그는 아내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형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대공위 계승 문제가 불거졌다.[69]

1728년 12월, 몽테스키외는 피렌체를 방문하여 잔 가스토네를 두고 "좋은 머리를 타고난 훌륭한 세자이지만 상당히 게으르고 다소 술에 중독되어 있다"라고 평가했다.[69]

1737년 잔 가스토네가 사망하면서 메디치 가문의 대공가는 단절되었고, 토스카나 대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가 되었다. 잔 가스토네는 부패한 성직자들을 정부에서 몰아내고, 피사 대학교에서 "새로운 사상"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했던 조치를 철회했으며, 부담스러운 소득세를 폐지하는 등 왕국 개혁에 힘썼다.[62] 그의 유해는 산 로렌초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4. 1. 긍정적 평가

잔 가스토네는 왕국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다. 정부에서 부패한 성직자들을 몰아내고, 코시모 3세피사 대학교에서 갈릴레오 등의 "새로운 사상"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한 조치를 철회했으며, 부담스러운 소득세를 폐지했다.[62] 그 결과, 그는 백성들에게 진심으로 존경받았다.[58] 프랑스 정치인이자 작가인 샤를 드 브로스는 1739년에 "토스카나인들은 메디치 가문을 다시 얻기 위해 재산의 3분의 2를, 로렌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나머지 3분의 1을 줄 것이다."라고 썼다.[63] 이러한 여론은 62년 동안이나 이어졌고, 1799년 프랑스가 토스카나를 점령했을 때 사람들은 이미 사망한 잔 가스토네가 왕위에 오르기를 바랐다.[64]

4. 2. 부정적 평가

잔 가스토네는 정치에 관심이 없었고, 건강도 좋지 않았다. 1728년 12월 피렌체를 방문한 몽테스키외는 "그는 좋은 머리를 타고난 훌륭한 세자이지만 상당히 게으르고 다소 술에 중독되어 있다."고 평가했다.[69] 즉위 후에는 아버지 코시모 3세가 정한 엄격한 법률을 폐지하고 과세 부담을 줄이는 등 토스카나 대공국을 전대에 비해 자유로운 분위기로 통치했지만,[69]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고 잔 가스토네는 무절제한 생활 속에 말년을 보냈다.

프랑스 정치인이자 작가인 샤를 드 브로스는 1739년에 "토스카나인들은 메디치 가문을 다시 얻기 위해 재산의 3분의 2를, 로렌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나머지 3분의 1을 줄 것이다."라고 썼다.[63] 이러한 정서는 62년 동안 크게 줄어들지 않아, 1799년 프랑스가 토스카나를 점령했을 때 사람들은 이미 오래전에 죽은 잔 가스토네가 왕위에 오르기를 요청했다.[64]

참조

[1] 문서 A peri-wigged man is resplendent in gold, ermine-fringed coronation robes. The man holds the royal sceptre of Tuscany in his right hand; at the same time clenching the royal crown. The cross of the order of Saint Stephen Pope and Martyr adorns his neck. The Cathedral of Santa Maria del Fiore lies crumbling against a dark sky outside the window.
[2] 서적 Young, p 460
[3] 서적 Hale, J.R., p 191
[4] 서적 Young, p 481
[5] 서적 Hale, p 192
[6] 서적 Acton, p 115
[7] 웹사이트 Anna Maria Luisa de' Medici - Biografia http://www.polomusea[...] www.polomuseale.firenze.it 2009-11-16
[8] 서적 Young, p 472
[9] 서적 Acton, p 164
[10] 서적 Acton, p 165
[11] 서적 Acton, p 208
[12] 서적 Acton, p 198
[13] 서적 Young, p 4733
[14] 서적 Strathern, p 399
[15] 서적 Acton, p 212
[16] 서적 Young, p 474
[17] 서적 Acton, p 215
[18] 서적 Young, pp, 474 - 475
[19] 서적 Acton, p 217
[20] 서적 Strathern, pp. 399–400
[21] 서적 Acton, p 219
[22] 서적 Acton, pp. 233–234
[23] 서적 Acton, p 324
[24] 서적 Strathern, p 403
[25] 서적 Acton, pp. 234–235
[26] 서적 Acton, p 235
[27] 서적 Strathern, p 404
[28] 서적 Acton, p245
[29] 서적 Strathern, pp. 396–397
[30] 서적 Strathern, p 405
[31] 서적 Young, pp. 478–479
[32] 서적 Young, p 479
[33] 서적 Young, pp. 479–480
[34] 서적 Young, p 480
[35] 서적 Acton, pp. 265–266
[36] 서적 Young
[37] 서적 Acton
[38] 서적 Young
[39] 서적 Strathern
[40] 서적 Acton
[41] 서적 Young
[42] 서적 Acton
[43] 서적 Acton
[44] 서적 Aldrich; Wotherspoon
[45] 서적 Acton
[46] 서적 Young
[47] 서적 Young
[48] 서적 Acton
[49] 서적 Strathern
[50] 서적 Acton
[51] 서적 Acton
[52] 서적 Acton
[53] 서적 Young
[54] 서적 Acton
[55] 서적 Acton
[56] 서적 Strathern
[57] 서적 Acton
[58] 서적 Young
[59] 서적 Acton
[60] 서적 Acton
[61] 서적 Acton
[62] 서적 Acton
[63] 서적 Acton
[64] 서적 Levy
[65] 서적 F. Garrido
[66] 서적 A. Row
[67] 서적 Acton
[68] 서적 Hale
[69] 서적 권력과 광기 말글빛냄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